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양산 버스 26

덤프버전 :

||
[ 펼치기 · 접기 ]

리무진버스KTX울산역 방면
30003100
직행좌석버스배내골부산 - 양산 - 울산
100021002300
양산 - 부산
1100120013001500
일반버스810[b]11[b]12[a]
13[d]1617[b]순환20-1[b]
21[a]23[a]2425
25-1263232-1
3352[b] [d]56[b] [d]57[b] [d]
585960[b]61[b]
87[b]113[b]128128-1
137[c] [d]138[c] [d]
마을버스웅상
웅상1웅상1-1웅상2[b]웅상3
웅상4[b]웅상5웅상5-1[b]웅진7
웅진8웅진10웅진11법서14
웅진15[b]웅진15-1웅진16법서17[b]
법서18웅진21웅진22웅진25
동면양산하북
법서1법서1-1양산2지산1
도시형버스도시형 버스1[b] [d]도시형 버스2[b] [d]도시형 버스3[b] [d]도시형 버스4[b] [d]
도시형 버스5[b] [d]도시형 버스6[b] [d]도시형 버스7[b] [d]도시형 버스8[b] [d]
[a] 심야노선 운행 노선, [b] 환승시간 60분 적용 노선, [c] 환승시간 180분 적용 노선, [d] 환승횟수 2회 적용 노선



파일:양산_버스_26.jpg

1. 노선 정보
2. 개요
3. 역사
4. 특징
4.1. 시간표
4.2. 노선
5. 연계 철도역
6. 둘러보기


1. 노선 정보[편집]


파일:양산시 CI_White.svg 양산시 시내일반버스 26번
[ 지도 노선도 보기 ]
파일:26번 노선도.png
기점경상남도 양산시 북정동 (북정대동1차아파트)종점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물금리 (물금역)
종점행첫차06:20 (평일) / 07:00 (토, 일, 공휴일)기점행첫차05:30 (평일) / 06:00 (토, 일, 공휴일)
막차19:00 (평일) / 19:15 (토, 일, 공휴일)막차21:00 (평일) / 21:15 (토, 일, 공휴일)
평균배차간격30분
운수사명(주)세원인가대수6대
노선북정대동1차아파트 - 양산시립박물관 - 상신기 - (→북부시장→/←양산중학교←) - 남부시장 - 양산시청역[1] - 시외터미널.이마트 - 양산역 환승센터 - 양산타워 - 남양산e편한2차·반도5차 - 부산대병원사거리 - 부산대의학대학원 - 양우내안애1차 - 물금중학교·대방노블랜드7차 - 물금역


2. 개요[편집]


경상남도 양산시의 시내버스 노선. 왕복 운행거리는 약 29.6km. 전체 정류장 목록


3. 역사[편집]




  • 2018년 3월 2일에 노선이 대폭 변경되었다. 양산시 공지사항
  • 기존 노선: 북정대동1차아파트 - 동원아파트 - 양산시립박물관 - 성원네오파트 - 신기주공 - 신한은행.양산시2제청사 - 구.터미널 - 서이동 - 양산역환승센터 - 양산타워 - 남양산e편한2차.반도5차 - 산림청 - 석산한신아파트 - 농수산물유통센터 - 금산택지 - 양산부산대병원정문
  • 변경 노선: 양산역환승센터 - 양산타워 - 남양산e편한2차.반도5차 - 산림청 - 석산한신아파트 - 농수산물유통센터 - 금산택지 - 양산부산대병원정문 - 범어주공3차 - 부산대의학대학원 - 반도유보라4차 - 양우내안애2차.부영아파트 - 물금중학교.대방노블랜드7차 - 양우5차.이지5차 -물금역


  • 2021년 12월 1일 시내버스 노선개편으로 인하여 북정까지 연장된다. 양산역환승센터~신도시현대.청어람~남부시장~양산시청제2청사~양산중학교 및 신기로 구간[2]~북정으로 경로로 다니며 또한 금산택지 구간은 폐지되어 석산신도시에서 바로 금오대교 경유하여 물금으로 향하는 노선으로 바뀐다. 양산시 공지사항


4. 특징[편집]


  • 금오대교를 건너가는 유일한 노선[3]이다. 양산신도시~물금읍을 연계하는 모든 노선들은 삽량교를 건너가는데 이 노선은 금오대교를 통과하여 양산역 환승센터로 조금 둘러간다. 다만 양산부산대병원에서 금산리와 석산신도시를 빠르게 이어주기때문에 양산부산대병원 ↔ 석산신도시 구간수요가 많이 존재한다.

  • 양산역환승센터에서 쭉 내려와서 양산타워를 거쳐서 석산리를 지나 바로 금오대교를 건너 양산부산대병원으로 향한다. 때문에 양산부산대병원에서 양산역으로 빠르게 가고싶다면 10번, 16번, 17번, 52번을 타는 편이 훨씬 낫다.

  • 양산역 바로 앞으로는 가지 않고 양산역 환승센터를 거쳐 바로 강변로과 삽량로 방면으로 가니 이용에 주의해야 한다. 양산역에 가려면 양산역환승센터2/양산역환승센터4 정류장에 하차하여 조금 걸어야 한다.

  • 북정까지 노선이 연장된 덕분에 북정에서 석산신도시 내부로 들어가는 1200번의 북정↔석산 구간 수요를 그대로 흡수하였다. 1200번은 직행좌석노선이라 요금이 비싼데 26번은 시내버스라 요금이 저렴하기 때문.[4]

  • 특히 북부시장을 양방향 거치지 않고 북정 방면은 북안북7길을 따라 양산중학교 정류장을 거쳐 가는 유일한 노선이다.[5] 또한 신기로(베데스다병원~상신기~하북정입구) 구간를 거쳐 가는 단독구간이 있어서 이들 지역 주민들에게는 결코 없어서는 안 될 노선이다.


  • 양산선의 연계노선의 포커스로 맞추어진 노선으로 굴곡도가 있으므로 이용할때 유의하여야 한다.


4.1. 시간표[편집]


26번 시간표 (양산시 버스정보시스템)


4.2. 노선[편집]


파일:양산시 CI_White.svg 양산시 시내일반버스 26번
[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· 접기 ]

물금역1길
양우내안애5차.이지더원5차 ▼▲ 물금역
물금로
양우내안애2차.부영아파트 ▼▲ 가촌초등학교.부영아파트1차
증산역로
양우내안애1차 ▼▲ 양우내안애2차.부영아파트
청운로
양산캠퍼스기숙사 ▼▲ 반도유보라4차
부산대학로
미래디자인융합센터.서남마을 ▼▲ 양산캠퍼스기숙사
황산로
양산부산대병원정문 ▼▲ 범어주공3차
금오로
동원로얄듀크2차 ▼▲ 동원로얄듀크2차
금오13길
양산타워 ▼▲ 남양산e편한2차.반도5차
강변로
▲ 양산역환승센터2
양산역6길
시외버스터미널.이마트 ▼
양산역1길
신도시현대.청어람 ▼▲ 시외버스터미널.이마트
삽량로
▲ 신도시현대.청어람
양산대로
남부삼거리 ▼
서일동로
신한은행.양산시제2청사 ▼▲ 남부시장
중앙로
양산중학교 ▼▲ 북부시장
북안북7길명곡로
베데스다병원 ▼
신기로
▲ 하북정입구
북정로
양산시립박물관 ▼
북정중앙로
▲ 상북정
북정11길
동원아파트 ▼▲ 북정대동2차아파트
북정로북정12길
북정중앙로



5. 연계 철도역[편집]




6. 둘러보기[편집]


파일:부산대학교 심벌마크.svg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(양산부산대학교병원) 경유 버스
[ 펼치기 · 접기 ]
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 경유 버스
미래디자인융합센터.서남마을범어주공3차방면
(미래디자인융합센터.서남마을)
102126
3352138
1300
시립도서관정문방면
(미래디자인융합센터)
213233
128128-11500
(서남마을)10
부산대의학대학원육아종합지원센터방면2632-152
1381300
황전아파트방면32-1
황전아파트
(서남초등학교방면)
32128128-1
1500
양산캠퍼스기숙사2632-11300
양산부산대학교병원 경유 버스
범어초등학교(양산부산대학교병원)2133138
1300
양산부산대병원정문101617
2652
부산대양산캠퍼스역 경유 버스 유의
8
하늘색: 물금역 경유 노선(증산역 미경유 노선)
유의: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부산대학교/양산캠퍼스와의 거리는 도보로 대략 20분 소요되며 둘 사이를 잇는 노선은 단 한 개도 없다. 따라서 시내버스 이용 시 부산대양산캠퍼스역에 하차하는 것 보다 증산역에서 하차 후 하늘색 배경 노선 제외한 나머지 노선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08 15:36:38에 나무위키 양산 버스 2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실제로 노선도를 보면 양산시청역(미개통.미정차)라고 적혀있다.[2] 이로서 12월 1일 개편으로 양산중학교 및 신기로를 경유하지 않게 된 11번12번의 일부 구간을 26번이 단독으로 경유하게 되었다.[3] 과거에는 132번도 있었으나 폐선되었다.[4] 26번의 북정 연장 이전에는 요금이 비싸도 환승저항을 감안해서라도 1200번을 이용하여 북정에서 석산까지 오가는 수요가 드물게나마 존재하였다.[5] 11번12번의 경우 2021년 12월 1일 노선 개편 이전에는 해당 구간을 같이 거쳐갔지만 노선 개편 이후 양방향 중앙로를 따라 북부시장으로 가도록 경로가 변경되었다.

관련 문서